전체 글 226

파일 열기와 저장(5) 다이얼로그로 폴더 지정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이야기한 getOpenFileName과 getSaveFileName이 폴더 내의 하나의 파일만 선택하는 것이라면 오늘 이야기할 함수는 폴더를 선택하는 합니다. 이를 이용하면 해당폴더의 모든 맥스 파일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해집니다. 우선 폴더를 선택하는 함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Path 저장 getSavePath [ caption: ] [ initialDir: ] 다이얼로그(대화창)를 열어 path를 저장합니다. [ caption: ]은 다이얼로그의 제목을 정합니다. [ initialDir: ]은 시작 시 폴더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이전 시간에 getOpenFileName과 getSaveFileName을 사용해 보셨다면 ..

파일 열기와 저장(4) 다이얼로그로 Path, FileName지정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다이얼로그(대화 상자)를 사용하여 맥스 파일을 불러오고 저장할 때 사용할 Path와 FileName을 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것은 실제적으로 파일을 열거나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그에 필요한 값을 다이얼로그로 구하는 것입니다. 다이얼로그를 사용한 Open Path, FileName

파일 열기와 저장(3) 맥스 파일 Merge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이어 오늘도 맥스 파일을 조작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ergeMAXFile mergeMAXFile [] [#prompt] [ [ #select ] #noRedraw ] [ #deleteOldDups | #mergeDups | #skipDups | #promptDups | #autoRenameDups ] [ #promptMtlDups | #useMergedMtlDups | #useSceneMtlDups | #renameMtlDups ] [ #promptReparent | #alwaysReparent | #neverReparent ] [ quiet: ] 와우~~ 머지는 딸려 있는 옵션의 내용이 많네요. -_-;;;..

파일 열기와 저장(2) 맥스파일 load, save, reset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이어서 파일 열기와 저장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loadMaxFile loadMaxFile [useFileUnits:] [quiet:] 맥스 파일을 불러오는 함수입니다. 은 파일의 로드를 성공하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합니다. (함수의 앞에 변수형이 있다면 결과 값을 해당 변수형으로 리턴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은 파일의 path와 name이 있는 문자열입니다. [useFileUnits:]는 파일을 불러올 때 false인 경우 현재 시스템의 단위로 크기로, true는 파일의 스케일 단위로 변경됩니다. [quiet:]는 파일을 열 때 물어보는(플러그인, 메터리얼의 부재 등 과 같은) 다이얼로그를 모두 무시..

파일 열기와 저장(1) 열린 파일의 패스와 이름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부터는 파일 저장과 불러오기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할까 합니다. 스크립트를 실제로 만들면서 설명을 들어갈까 했는데 양이 워낙 큰 데다가 알아둬야 할 것도 많은 편이기에 따로 모아서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파일을 저장 하고 불러오기 전에 열린 파일에 접근하는 방식을 알아보고 좀 더 깊은 내용으로 들어가 려고 합니다. 제목의 열린 파일은 말그대로 현재 맥스 창에 열린 파일을 이야기합니다. 우선은 맥스 파일을 열지 않은(untitled) 상태에서 다음을 MAXScript Listener에 입력하고 엔터를 쳐 봅시다. 1 maxFileName cs 바로 밑에 결과에 "" 이라고 나올 것입니다. 이유는 열린 파일이 없기 때문에 적..

맥스 스크립트의 유형(2), 사용자 스크립트 위치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이어서 오늘도 맥스 스크립트의 유형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사실 오늘의 이야기는 제가 쓸 일이 거의 없어서 잘 알지 못합니다. 하지만 어떤 것이 있는지는 알고 있어야 여차하는 순간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간략하게 설명하려고 합니다. *.ms(플러그인) 맥스 스크립트로 만들었지만 따로 User Interface에서 따로 등록할 필요가 없이 자신이 원하는 맥스의 메뉴에 플러그 인처럼 등록하는 스크립트입니다. 확장자 명은 .ms이지만 사실 확장자 명 보다는 실제 내용을 확인해야 알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plugin simpleObject AntiStar name:"AntiStar" category:"HowT..

맥스 스크립트의 유형(1)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맥스 스크립트의 유형에 대해서 약간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유용하다고 작업하여 올린 맥스 스크립트를 다운로드하여 보면 여러 가지 형태의 확장가를 가지고 있어 당황한 기억이 있을 겁니다.(최소한 저는 그랬습니다. ㅎㅎ) 이는 맥스 스크립트의 형태나 사용목적에 따라 나누기 위함 입니다. *.ms(일반) 확장자가 '.ms'로 되어 있는 스크립트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립트입니다. 사용방법은 맥스 메인 메뉴 > Scripting > Run Script...를 하여 해당 스크립트 파일을 선택한 거나 뷰포트 화면에 해당 스크립트 파일을 드래그하거나 MAXScript Editer에서 원하는 스크립트 파일을 열고 실행..

UI(19) 기타 설명 할것들2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UI의 설명에 대해 마무리 지으려고 합니다. DotNet(닷넷)과 ActiveX 닷넷과 ActiveX는 맥스 스크립트에서 표현할 수 없는 여러 가지 강력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기능들은 맥스 스크립트 밖의 더욱 큰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 스크립트 내부에서 특정 명령어를 입력하여 사용이 가능한데요. ListView나 Treeview와 같은 것을 맥스 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위 이미지를 보면 지금껏 배웠던 것과는 다른 형태의 UI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급 기능을 사용하시려면 ActiveX는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추천을 드리지 않고, DotNet을 추천드립니다. ActiveX나 Dot..

UI(18) 기타 설명 할것들1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과 다음번 설명으로 UI에 대한 이야기를 마무리 지으려고 합니다. UI 숨기기 모든 맥스 스크립트 UI는 숨기기 기능이 있습니다. 같은 화면에서 필요에 따라 다른 내용을 보여주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visible라는 명령을 사용하는데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실행을 해봅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rollout testRoll "Test!" ( button a1_btn "버튼A1" pos:[5, 5] button b1_btn "버튼C1" pos:[70, 5] button a2_btn "버..

UI(17)Rollout Floater Windows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UI 중에서도 한 단계 심화된 내용을 이야기하겠습니다. 지금까지 다이얼로그 형식은 1 2 3 4 5 rollout testRoll "Test!" ( ...... ) createdialog testRoll 190 80 cs 이런 식으로 입력해서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하지만 맥스의 UI를 살펴보면 접었다 폈다 하는 UI가 있는데요. 맥스 스크립트 UI는 Rollout Floater Windows를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문법 newRolloutFloater [ ] 는 Rollout Floater Windows형식으로 만들어지는 newRolloutFloater의 이름입니다. 는 윈도우의 너비입니다. 는 윈도우의 높이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