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이어 오늘도 맥스 파일을 조작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ergeMAXFile
<boolean>mergeMAXFile <filename_string> [<name_array>] [#prompt] [ [ #select ] #noRedraw ] [ #deleteOldDups | #mergeDups | #skipDups | #promptDups | #autoRenameDups ] [ #promptMtlDups | #useMergedMtlDups | #useSceneMtlDups | #renameMtlDups ] [ #promptReparent | #alwaysReparent | #neverReparent ] [ quiet:<bool> ]
와우~~ 머지는 딸려 있는 옵션의 내용이 많네요. -_-;;;
머지는 현재 열려있는 파일에 새로운 파일의 내용을 합치는 역할을 합니다.
<boolean>은 파일의 머지를 성공하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합니다.
<filename_string>은 파일의 path와 name이 있는 문자열입니다.
[<name_array>]은 머지할 오브젝트(노드)의 이름을 배열 형태로 적습니다. 만약 적지 않는다면 모든 오브젝트(노드)가 머지됩니다.
[#prompt]는 머지할 때 오픈되는 머지용 대화창을 오픈합니다.
[ [ #select ] #noRedraw ]에서 #select는 머지 후에 머지로 불려진 오브젝트(노드)를 선택하도록 합니다.
#noRedraw는 머지한 결과를 뷰포트에 적용하지 않습니다. mergeMAXFile을 여러 번 할 경우 모든 작업이 마무리될 때까지 뷰포트에 적용하지 않고 한 번에 적용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 #deleteOldDups | #mergeDups | #skipDups | #promptDups | #autoRenameDups ]
#deleteOldDups 머지 시 같은 이름인 오브젝트(노드)가 있으면 기존의(원래있던) 오브젝트(노드)가 지워진다.
#mergeDups 머지시 같은 이름인 오브젝트(노드)가 있어도 머지를 하여 같은 이름인 오브젝트가 2개 이상이 됩니다.
#skipDups 머지시 같은 이름의 오브젝트(노드)가 있으면 오브젝트(노드)를 머지하지 않습니다.
#promptDups 머지 시 같은 이름의 오브젝트(노드)가 있으면 머지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대화창을 오픈합니다.
[ #promptMtlDups | #useMergedMtlDups | #useSceneMtlDups | #renameMtlDups ]
#promptMtlDups는 머지 시 동일한 메터리얼이 있으면 머지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대화창을 오픈합니다.
#useMergedMtlDups는 머지 시 동일한 메터리얼이 있으면 머지할 메터리얼을 사용합니다.
#useSceneMtlDups는 머지시 동일한 메터리얼이 있으면 씬에 있는 메터리얼을 사용합니다.
#renameMtlDups는 머지시 동일한 메터리얼이 있으면 머지할 메터리얼의 이름을 변경하여 사용합니다.
[ #promptReparent | #alwaysReparent | #neverReparent ]
#promptReparent는 머지의 대화창을 유저가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기본)
#alwaysReparent는 유저에게 묻지 않고 항상 바인드 합니다.
#neverReparent는 유저에게 묻지 않고 바인드도 하지 않습니다.
[ quiet:<bool> ]는 머지할 때 나오는 모든 옵션 창을 꺼버립니다. (저 같은 경우엔 머지할 파일을 용도에 맞게 만들어서 별도의 옵션이 필요 없도록 한 다음 이 기능을 사용하여 간략히 머지를 합니다. ㅎㅎ)
간단하게 머지에 대해 실행해 보겠습니다.
우선은 빈 맥스 창에서 바이 패드를 하나 기본으로 만들고 이전에 만들었던 박스를 머지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실행해 봅시다. (저는 머지될 box.max파일에 box001 오브젝트가 있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머지하자마자 바이패드의 헤드에 링크를 걸게 했습니다.)
1 2 | mergeMaxFile "d:\\test\\box.max" quiet:true $'Box001'.parent = $'bip001 Head' | cs |
머지를 사용할 때는 옵션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오브젝트와 메터리얼을 불러올 수 있지만 그것보다는 불려질 것 만을 잘 정리하여 따로 맥스 파일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편합니다.
오늘은 맥스의 파일 머지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다음에는 저장과 불러오기를 할 때 대화 상자(다이얼로그)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맥스스크립트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열기와 저장(6) FBX Export 옵션 (2) | 2019.08.28 |
---|---|
파일 열기와 저장(6) Export, Import (0) | 2019.08.27 |
파일 열기와 저장(5) 다이얼로그로 폴더 지정 (0) | 2019.08.26 |
파일 열기와 저장(4) 다이얼로그로 Path, FileName지정 (0) | 2019.08.25 |
파일 열기와 저장(2) 맥스파일 load, save, reset (0) | 2019.08.23 |
파일 열기와 저장(1) 열린 파일의 패스와 이름 (0) | 2019.08.22 |
UI(19) 기타 설명 할것들2 (0) | 2019.08.18 |
UI(18) 기타 설명 할것들1 (0) | 2019.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