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다이얼로그(대화 상자)를 사용하여 맥스 파일을 불러오고 저장할 때 사용할 Path와 FileName을 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것은 실제적으로 파일을 열거나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그에 필요한 값을 다이얼로그로 구하는 것입니다.
다이얼로그를 사용한 Open Path, FileName
<
1
|
filename pfName = getOpenFileName caption:"테스트 오픈:" filename:"D:\\test\\box.max" types:"맥스파일(*.max)|*.max" historyCategory:"D:\\test"
|
cs |
파일을 불러오는 다이얼로그(대화창) 함수입니다.
[ caption:<title> ]은 다이얼로그의 제목을 정합니다.
[ filename:<seed_filename_string> ]이 정의되면 다이얼로그는 해당 위치의 파일을 우선적으로 보여줍니다.
[ types:<description1>|<pattern1>|<description2>|<pattern2>|...| ]은 사용할 수 있는 파일의 형식(확장자)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 historyCategory:<string> ]는 다이얼로그의 History의 값을 설정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직접 실행하여 확인해 봅시다.
다음과 같이 실행하여 각각의 기능을 알아봅시다.
(저는 이전 시간에 만들었던 D드라이브의 test폴더 안에 box.max파일을 사용하겠습니다.)
1
|
filename pfName = getOpenFileName caption:"테스트 오픈:" filename:"D:\\test\\box.max" types:"맥스파일(*.max)|*.max" historyCategory:"D:\\test"
|
cs |
어떤 원리로 작동했는지 알아봅시다.
getOpenFileName를 사용하여 파일을 불러오는 다이얼로그 창을 불러옵니다.
caption을 사용하여 창의 제목(Title)을 "테스트 오픈:"이라고 합니다.
filename에 "D:\\test\\box.max"입력하여 창이 열리자마자 D:\test 폴더의 box.max 파일을 선택하는지를 정합니다.
types에 "맥스파일(*.max)|*.max"라고 문자열을 입력하여 폴더의 max파일만을 보여 줍니다.
historyCategory는 "D:\\test"값을 입력하여 다른 폴더로 이동해도 다이얼로그의 History를 사용하여 입력한 폴더로 이동할 수 있게 합니다.
이 모든 값을 pfName에 저장이 되는데 format문을 사용하여 값을 출력해 보면 "D:\test\box.max"이런 식으로 Path와 FileName이 나옵니다.
이 상태에서 이전에 배운 loadMaxFile에 pfName을 입력하여 파일을 불러옵니다.
1
|
loadMaxFile pfName quiet:true
|
cs |
다이얼로그를 사용한 Save Path, FileName
getSaveFileName [ caption:<title> ] [ filename:<seed_filename_string> ] [ types:<description1>|<pattern1>|<description2>|<pattern2>|...| ] [ historyCategory:<string> ]
파일을 저장하는 다이얼로그(대화창) 함수입니다.
사용되는 옵션을 보면 눈치 채신 분도 있겠지만 getOpenFileName과 사용방법이 동일합니다.
getOpenFileName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성하여 실행해 봅시다.
1
|
pfName = getSaveFileName caption:"테스트 세이브:" filename:"D:\\test\\box.max" types:"맥스파일(*.max)|*.max" historyCategory:"D:\\test"
|
cs |
getOpenFileName과 Save버튼이 있다는 것 빼고는 동일합니다.
그렇다면 이것도 pfName을 확인해 보면 Path + File형식으로 나올 것입니다.
1
|
saveMaxFile pfName quiet:true
|
cs |
오늘은 다이얼로그를 이용하여 Open과 Save를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다이얼로그를 이용해 파일이 아닌 Path만 구하여 폴더 값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맥스스크립트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열기와 저장(7) FileStream(1) (0) | 2019.08.29 |
---|---|
파일 열기와 저장(6) FBX Export 옵션 (2) | 2019.08.28 |
파일 열기와 저장(6) Export, Import (0) | 2019.08.27 |
파일 열기와 저장(5) 다이얼로그로 폴더 지정 (0) | 2019.08.26 |
파일 열기와 저장(3) 맥스 파일 Merge (0) | 2019.08.24 |
파일 열기와 저장(2) 맥스파일 load, save, reset (0) | 2019.08.23 |
파일 열기와 저장(1) 열린 파일의 패스와 이름 (0) | 2019.08.22 |
UI(19) 기타 설명 할것들2 (0) | 2019.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