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이어서 파일 열기와 저장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loadMaxFile
<boolean>loadMaxFile <filename_string> [useFileUnits:<bool>] [quiet:<bool>]
맥스 파일을 불러오는 함수입니다.
<boolean>은 파일의 로드를 성공하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합니다. (함수의 앞에 변수형이 있다면 결과 값을 해당 변수형으로 리턴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filename_string>은 파일의 path와 name이 있는 문자열입니다.
[useFileUnits:<bool>]는 파일을 불러올 때 false인 경우 현재 시스템의 단위로 크기로, true는 파일의 스케일 단위로 변경됩니다.
[quiet:<bool>]는 파일을 열 때 물어보는(플러그인, 메터리얼의 부재 등 과 같은) 다이얼로그를 모두 무시하고 파일을 엽니다. 폴더 내의 모든 파일을 배치 형식으로 오픈할 경우 true를 선택해 일일이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파일을 열어 봅시다.
1
|
loadMaxFile "D:\\test\\box.max" quiet:true
|
cs |
(저는 지난 시간에 이미 D드라이브 test폴더에 box.max파일을 만들어 두었습니다. 여러분들은 자신의 상황에 맞게 <filename_string>을 작성해 주세요.)
실행을 하면 MAXScript Listener에 true라고 출력되며, 맥스 파일이 열립니다.
실 작업에서는 이렇게 불러 온 다음에 노드를 추가/삭제한다던가 필요한 값을 변경할 것입니다.
여기서 잠깐!
이전에 배운 maxFilePath + maxFileName로 확인해 보면 파일과 폴더를 구분하는 부분에 \가 1개만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직접 입력할 때는 \가 두개붙어 있습니다. (\\)
이것은 문자열로 입력할때 \는 특수 문자 취급을 받기 때문입니다.
이전에 format문을 이야기할 때 다음 라인으로 이동하는 방법이 \n이라 했습니다.
즉 n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특수문자 \와 합하여 취급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를 하나만 사용할 경우 특수문자의 시작으로 취급됩니다.
\를 문자 형식으로 받기 위해서는 \\이라고 입력해야 합니다.
그다음에는 파일을 저장하겠죠.
그럼 저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ave
<bool>saveMaxFile <filename_string> [saveAsVersion:<integer>] [clearNeedSaveFlag:<bool>] [useNewFile:<bool>] [quiet:<bool>]
맥스 파일을 저장하는 함수입니다.
<bool>은 파일의 로드를 성공하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합니다. (함수의 앞에 변수형이 있다면 결과 값을 해당 변수형으로 리턴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filename_string>은 파일의 path와 name이 있는 문자열입니다.
[saveAsVersion:<integer>]은 2010으로 할 경우 맥스 2010 버전으로 2011은 맥스 2011 버전으로 저장을 합니다.
[clearNeedSaveFlag:<bool>]는 저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false로 했을 때 new나 reset를 할 때 세이브를 하라는 창이 나옵니다.
[useNewFile:<bool>]은 false인 경우 저장된 파일이 현재 장면 파일로 설정되지 않고 파일이 가장 최근에 사용한 목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라고 설명이 나오는데 어떤 기능인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quiet:<bool>]는 파일을 저장할 때 물어보는 다이얼로그를 모두 무시하고 파일을 저장합니다. 폴더 내의 모든 파일을 배치 형식으로 저장할 경우 true를 선택해 일일이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그럼 간단하게 저장을 해봅시다.
1
|
saveMaxFile "D:\\test\\box01.max" quiet:true
|
cs |
기존의 파일은 box.max파일인데 저장을 하면서 box01.max파일로 새로이 저장하도록 하였습니다.
잘 저장이 되었으면, 맥스를 비워야겠죠.
맥스를 비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eset
resetMaxFile() [#noPrompt]
이 함수가 맥스를 비우는(reset) 것입니다.
[#noPrompt]는 사용하면 파일이 저장되지 않았어도 강제로 reset를 하게 합니다.
(#noPrompt를 사용하면 resetMaxFile뒤에 오는 괄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실행하여 맥스를 비워 봅시다.
1
|
resetMaxFile #noPrompt
|
cs |
오늘은 불러오기, 저장, 리셋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다음에는 파일의 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맥스스크립트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열기와 저장(6) Export, Import (0) | 2019.08.27 |
---|---|
파일 열기와 저장(5) 다이얼로그로 폴더 지정 (0) | 2019.08.26 |
파일 열기와 저장(4) 다이얼로그로 Path, FileName지정 (0) | 2019.08.25 |
파일 열기와 저장(3) 맥스 파일 Merge (0) | 2019.08.24 |
파일 열기와 저장(1) 열린 파일의 패스와 이름 (0) | 2019.08.22 |
UI(19) 기타 설명 할것들2 (0) | 2019.08.18 |
UI(18) 기타 설명 할것들1 (0) | 2019.08.17 |
UI(17)Rollout Floater Windows (0) | 2019.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