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이어서 오늘도 맥스 스크립트의 유형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사실 오늘의 이야기는 제가 쓸 일이 거의 없어서 잘 알지 못합니다.
하지만 어떤 것이 있는지는 알고 있어야 여차하는 순간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간략하게 설명하려고 합니다.
*.ms(플러그인)
맥스 스크립트로 만들었지만 따로 User Interface에서 따로 등록할 필요가 없이 자신이 원하는 맥스의 메뉴에 플러그 인처럼 등록하는 스크립트입니다.
확장자 명은 .ms이지만 사실 확장자 명 보다는 실제 내용을 확인해야 알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
plugin simpleObject AntiStar
name:"AntiStar"
category:"HowTo"
classID:#(0xe855567c, 0xbcd73b8b)
(
....
|
cs |
위와 같이 Pligin으로 시작하며 원하는 맥스의 메뉴 중 원하는 위치에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일반적인 .ms스크립트와 동일하게 실행할 수도 있고 3dsmax\Scripts\Startup나 3dsmax\plugins에 붙여 넣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mse(암호화)
확장자는 .mse로 되어 있으며 유료로 팔거나 다른 사람이 코드를 보지 못 하게 할 용도로 만들어진 스크립트입니다.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장에서 확인을 해도 알 수 없는 문자로 나옵니다.
일반적인 ms 스크립트를 실행하듯이 실행하면 됩니다.
*.mzp(압축화)
zip 파일과 같은 형식으로 압축되어 있으며 맥스에서 압축을 풀지 않고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자만 변경한 것 같습니다.
스크립트 파일과 관련된 폴더나 파일이 여러 개 있어서 누락되기 쉬운 경우 압축화 하여 묶어 전달할 때 용이합니다.
일반적인 ms 스크립트를 실행하듯이 실행하면 됩니다.
사용자 스크립트 위치
글이 짧은 것 같아 지난 시간에 잠깐 언급한 사용자 스크립트 사용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윈도우10은 보안 문제가 윈도우7 보다 강화되어 'C:\Program Files' 폴더의 하위 폴더와 파일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하는 것을 매우 싫어합니다.
맥스를 관리자 모드로 실행하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관리자 모드에서는 프리뷰에 맥스 파일을 드래그하여 열기가 불가능합니다. 이런 부분만 보아도 일반적으로 실행하는 맥스와 관리자 모드로 실행하는 맥스는 기능적으로 차이가 예상되기 때문에 항상 관리자 모드로 실행하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닙니다.
또한 맥스는 맥스의 하위 폴더인 'scripts' 폴더에 있는 스크립트 파일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Autodesk\3dsMax\2016 - 64bit\ENU\usermacros' 폴더에 실제 사용할 스크립트 파일을 복사해 놓기 때문에 맥스의 하위 폴더인 'scripts' 폴더에 파일을 강제로 수정해도 경우에 따라서는 수정되지 않은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Autodesk\3dsMax\2016 - 64bit\ENU\usermacros' 폴더의 파일을 수정해 오류를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C:\Program Files'폴더가 아닌 'C:\'나 'D:\'에 자신의 스크립트 폴더를 따로 만들어 작업하시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오늘은 맥스 스크립트의 유형(2)과 사용자 스크립트 위치에 대해 이야기를 드렸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맥스 기본 게시판에서 파일 저장과 불러오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맥스스크립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자열(String) 함수(4) (0) | 2019.09.03 |
---|---|
문자열(String) 함수(3) (0) | 2019.09.02 |
문자열(String) 함수(2) (0) | 2019.09.01 |
문자열(String) 함수(1) (0) | 2019.08.31 |
맥스 스크립트의 유형(1) (0) | 2019.08.19 |
함수(3) (3) | 2019.08.13 |
함수(2) (0) | 2019.08.12 |
함수(1) (3) | 2019.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