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6

UI(10) edittext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맥스 스크립트에서 문자열을 입력받을 수 있는 edittext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edittext [] [text:] [fieldWidth:] [height:] [bold:] [labelOnTop:] [readOnly:] [text:] : edittext가 생성될때 기본적으로 적혀있는 텍스트입니다. [fieldWidth:] : 문자열이 적힐 부분의 길이 값입니다.(픽셀 단위) [height:] : 문자열이 적힐 부분의 높이 값입니다.(픽셀 단위) [bold:] : 문자열의 굵기입니다. [labelOnTop:] : edittext의 제목을 위에 위치할지를 정합니다. [readOnly:] : 직접 작성을 할 수 없고 ..

UI(9) radiobuttons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checkbutton과 비슷하게 생긴 radiobuttons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checkbutton은 원하는 것을 중복해서 선택을 할수 있는 반면에 radiobuttons는 여러 항목 중 하나만 선택을 할 수 있는 형태입니다. radiobuttons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radiobuttons [] labels: [tooltip:{|}] [default:] [columns:] , [], [tooltip]은 이전에도 계속 이야기했으니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labels:은 문자 배열 형태로 입력을 하며, 입력된 내용은 항목이 됩니다. [default:]는 radiobuttons가 처음 생성될 때 어떤 버튼을..

Color Values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맥스스크립트 기본에서 checkbutton을 이야기하다가 color에 대해서 알아 볼기회가 생겨 여기 기초 게시판에 글을 쓰게 됐습니다. 앞으로도 종종 필요에 따라 게시판을 넘어 다니며 작성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맥스에서는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color형을 따로 가지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론 point3형식(3개의 값을 가지는 형식)을 사용하며 지정된 이름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뭔 소린지는 천천히 확인해 보겠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이 박스를 만들고 wirecolor가 어떤 색인지 알아봅시다. 1 2 myBox = box() myBox.wirecolor cs 뷰포트에 박스가 생성되고 MAXScript Listener에 위 ..

UI(8) checkbutton의 이벤트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이어 checkbutton의 이벤트에 대해서 이야기해 봅시다. 먼저 checkbutton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1 2 3 4 5 rollout testRoll "Test!" ( checkbutton test1_chb "체크버튼1" highlightColor:(color 255 0 0) ) createdialog testRoll cs 이제 이벤트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on changed do checkbutton의 상태가 바뀔 때마다 발생합니다. on rightclick do checkbutton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발생합니다. 이제 무슨 내용인지 대충 감이 오실 겁니다. 그 감이 맞는지 확인해 봅시다..

UI(7) checkbutton의 문법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checkbutton은 생긴 것은 button처럼 보이고 실제 작동은 checkbox와 비슷합니다. 우선 chenckbutton의 문법을 알아봅시다. checkbutton [] [ highlightColor: ] [ toolTip: ] [ checked: ] [ images: ] [ border: ] 은 만들어질 checkbutton의 이름입니다. []은 만들어질 checkbutton의 버튼 위에 쓰일 문자입니다. [ highlightColor: ]는 checkbutton이 눌려졌을 때 색상입니다. [ toolTip: ]는 마우스가 checkbutton위에 머물렀을 때 팝업 되는 문자입니다. [ checked: ]는 checkbu..

UI(7) checkbox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checkbox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맥스에서 체크 박스는 다음과 같은 녀석을 말합니다. checkbox는 마우스 클릭으로 체크를 하거나 체크를 해지하는 것으로 다른 체크박스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문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checkbox [] [checked:] [triState:][tooltip:] 는 만들어질 checjbox의 이름을 정합니다. []는 checkbox에 문자열을 넣을 수 있게 해 줍니다. 주로 checkbox가 어떤 동작을 하는지 보여주는 데 사용합니다. [checked:]는 checkbox생성 시 true는 체크상태 false는 비 체크상태입니다. [triState:]는 true와 false..

UI(6) Spinner의 이벤트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이어서 오늘은 spinner의 이벤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우선 spinner를 만들어 봅시다. 1 2 3 4 5 createdialog testRollrollout testRoll "Test!" ( spinner test_spi "Spinner" range:[-10, 10, 0] toolTip:"스피니어!" ) createdialog testRoll cs on changed [] do 숫자가 변경되면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on entered [] [] do 숫자의 입력이(숫자의 변경과는 관계없이)완료 되면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on buttondown do 스피너의 버튼을 누르면 이벤트가 발생합..

UI(5) Spinner의 문법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Spinner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Spinner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옆에 숫자를 조작하는 버튼이 달려있는 UI입니다. Spinner의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spinner [] [range:[min,max,val]] [type:] [scale:] [fieldWidth:] [toolTip:] [indeterminate:] [controller:()] [setKeyBrackets:] 는 만들어질 spinner의 이름입니다. []은 사용하지않을 수 있고 UI상에서 Text를 출력해줍니다. 일반적으론 이 spinner가 무엇인지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range:[min,max,val]]는 입력 값의 범위와..

UI(4) Button 이벤트 및 이미지, 메시지박스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마무리 짓지 못한 button을 사용한 이벤트와 button에 이미지를 씌우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먼저 버튼을 만들어 봅시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실행해 봅시다. 1 2 3 4 5 rollout testRoll "Test!" ( button test_btn "button" toolTip:"버튼1" ) createdialog testRoll cs 이벤트 이벤트의 문법을 알아보도록 할까요? on pressed do 왼쪽 마우스로 버튼을 클릭했을 때 해당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on rightclick do 오른쪽 마우스로 버튼을 클릭 했을 때 해당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또 이상한 소리가 나왔으니 당장 예제를 확인해..

UI(3) Label, Button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지난번에 이야기하기로 한 대로 label과 butto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abel label은 별다른 역활은 없고 다이얼로그에 텍스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label [] [style_sunkenedge:] 은 만든 label의 이름입니다. []은 lebel에 쓰여질 문자입니다. [style_sunkenedge:]는 문자가 쓰일 부분을 음각으로 표시할 것인가를 결정합니다. 이렇게 보면 그다지 감이 오지 않으니 실제 해봅시다. 다음과 같이 적고 실행해 봅시다. 1 2 3 4 5 rollout testRoll "Test!" ( label test_lab "Hi!" ) cre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