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6

UI(16)groupBox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날로 먹을 수 있는(?) groupBox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groupBox는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은 없고 나열된 UI를 보기 좋게 나누는 역할을 합니다. 우선은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문법 groupBox [caption] [pos:] [width:] [height:] [pos:]는 X, Y형태로 위치를 결정합니다. [width:]는 가로의 길이를 결정하고, [height:]는 세로의 길이를 결정합니다. 우선 다음과 같이 작성하고 실행해 봅시다. 1 2 3 4 5 6 7 8 9 10 rollout testRoll "Test!" ( button a_btn "버튼A" pos:[10, 15] button..

UI(15) ProgressBar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함수 설명을 하느라 잠시 동안 UI 관련 이야기를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그럼 다시 UI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맥스의 스크립트 UI인 ProgressBar를 이야기하겠습니다. ProgressBar는 진행률을 표시하는 UI입니다. 가끔 많은 양의 맥스 파일을 순차적으로 조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100개 정도 되는 파일이 있다면, 이 작업이 언제 끝나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그때 진행 정도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하면 정확하게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작업이 진행됐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문법 progressBar [value:] [color:] [orient:] [value:]는 진행 정도를 0 ~ 100까지의 수치로 표시할 수 있..

함수(3)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도 함수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하겠습니다. 오늘 내용은 제가 함수를 사용하는 방식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이 방식은 그냥 제가 편해서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꼭 이렇게 해야 한다.'는 것이 아닌 '이렇게 쓰는 사람도 있구나!' 하고 너그럽게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ㅎㅎ 함수는 인자를 여러 개를 쓸 수 있다고 이야기를 이전에 했었는 사실 인자가 없어도 가능한 함수도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해봅시다. 1 2 3 4 5 6 fn non_fn = format "함수 입니다.\n" non_fn () non_fn () non_fn () non_fn () cs 뭔가 간단해 보이네요. 내용을 짚기 전에 1번 라인을 확인해 봅시다. ..

함수(2)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이어 오늘도 함수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지난번에 예제로 사용했던 함수는 rturn문을 생략하고 사용해도 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하지만 꼭 리턴 문을 써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함수를 꼭 다 실행하지 않고 특정 결과가 나왔을 때 함수를 멈추고 값을 넘겨줘야 하는 경우가 그런 경우입니다. 보드게임에서 주사위의 숫자가 6이 나올 때만 살고 나머지는 죽는다면 다음과 같이 해볼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rollout Dice_Roll "Test!" ( fn DoA_fn num = ( if(num == 6) do return true ret..

함수(1)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UI이야기 중에 함수에 대해서 이야기가 나왔는데요. 맥스 스크립트에서 함수의 사용 방법은 정확하게 이야기한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맥스의 함수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함수는 어떤 값을 입력 받아 그 값을 가공하여 반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알쏭달쏭하게 설명이 됐는데 예를 하나 들어 보겠습니다. 햄버거 가게에서 돈과 함께 원하는 햄버거를 주문하면 가게의 주방에서 내용에 맞춰 햄버거를 만들어 줍니다. 여기서 '돈과 주문'이 '입력 값'이고 '햄버거를 만드는 과정'이 가공이며, '햄버거'가 '반환'입니다. 스크립트를 작업하면 대부분이 '값을 입력하고 공정하고 출력하는'과정입니다. 그런데 함수를 따로 구분지어서 만..

UI(14) Pickbutton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맥스 스크립트 UI에는 버튼을 누른고 그다음으로 선택하는 오브젝트에 효과를 적용하는 버튼이 있습니다. 저는 쓴적이 없지만 용도상 알아 두면 좋은 기능입니다. 문법 pickbutton [] [message:] [filter:] [toolTip:] [autoDisplay:] [message:]는 pickbutton을 누른 후 오브젝트를 선택할 때까지 3ds Max의 하단 상태바에 표시될 메시지입니다. [filter:]는 오브젝트의 선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조건이 포함된 함수를 넣을 수 있습니다. [autoDisplay:]는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버튼에 오브젝트의 이름이 버튼에 표시됩니다. 한번 만들고 나서 확인해 봅시다. 1 2 3..

UI(13) Dropdownlist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이어 오늘은 맥스 스크립트 UI에 대해서 계속 이야기하겠습니다. 오늘 이야기할 UI는 Dropdownlist라는 것인데요. 이전에 배웠던 ListBox나 MultiListBox와 비슷하게 여러 개의 항목 중에 선택을 하는 UI입니다. 문법 dropdownlist [] [items:] [selection:] [height:] [tooltip:] 어디서 봤던 내용이 밑에 있습니다. ㅎㅎ [items:]는 MultiListBox의 항목을 넣을 수 있습니다. [selection:]은 나열된 여러 항목 중에 선택할 위치를 숫자로 나타냅니다. 기본적으론 1입니다. [height:]는 리스트의 높이를 뜻하는데 근본적으론 항목을 기입할..

UI(12) MultiListbox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 이야기할 UI는 MultiLostbox인데요, 이전에 이야기했던 Listbox와 비슷한 기능을 가졌습니다. Multi라는 단어로 보아 뭔가 여러 개를 할 것 같은 느낌이네요. ㅎㅎ 문법 MultiListBox [] [items:] [selection:{ | | }] [height: ] [items:]는 MultiListBox의 항목을 넣을 수 있습니다. [selection:{ | | }]은 나열된 여러 항목 중에 선택할 위치를 숫자로 나타냅니다. 기본적으론 1입니다. [height: ]는 리스트의 높이를 뜻하는데 근본적으론 항목을 기입할 수 있는 라인의 수입니다. 뭔가 Listbox와 같은 것만 있네요. 그럼 작성하여 실행해..

UI(12) Listbox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 할 이야기는 Listbox입니다. 리스트 박스는 여러 항목을 나열해서 확인하거나 나열한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UI입니다. 문법 listbox [] [items:] [selection:] [height:] [readOnly:] [items:]는 리스트의 항목을 넣을 수 있습니다. [selection:]은 나열된 여러 항목중에 선택할 위치를 숫자로 나타냅니다. 기본적으론 1입니다. [height:]는 리스트의 높이를 뜻하는데 근본적으론 항목을 기입할 수 있는 라인의 수입니다. [readOnly:]는 true일 경우 확인만 할 수 있고 선택을 할 수 없습니다. false는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론 false입니..

UI(11) Slider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 이야기할 UI는 slider입니다. 이전에 배운 spinner와 비슷하게 상하 혹은 좌우로 이동시켜서 조절을 하는 UI입니다. spinner보다 정교하게 조작을 할 수 없지만 캐릭터의 얼굴 표정을 섞는 것과 같이 정확한 수치보다 느낌을 중요시할 때 사용합니다. (저는 그다지 사용한 적이 없네요. ㅎㅎㅎ) 문법 slider [] [range:[min,max,val]] [type:] [ticks:10][orient:][controller:()] [toolTip:] [range:[min,max,val]]는 Point3로 구성되어 있으면 최소, 최대, 기본 순으로 입력됩니다. [type:]은 사용되는 수치를 소수 형태를 사용할지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