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6

Constraints - Look At(3)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Constraints에 대해서 계속 이야기하겠습니다. 지난번에 이어서 본과 포인트 더미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본이 포인트 더미를 Look At Cinstraint 하도록 합니다. Select LookAt Axis .target_axis Integer default: 0-- integer 어느 축으로 타겟을 처다 보는지 확인하거나 변경합니다. 0 : X 축 1 : Y 축 2 : Z 축 한가지 확인하실 것이 Select LookAt Axis 축에 따라 Source/Upnode Alignment 값도 바뀌게 됩니다. 스크립트가 그렇게 변경하는것이 아니라 맥스의 기능이 그런 것입니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 $.rotati..

Constraints - Look At(2)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Constraints에 대해서 계속 이야기하겠습니다. 지난번에 이어서 본과 포인트 더미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본이 포인트 더미를 Look At Cinstraint 하도록 합니다. Keep Initial Offset . relative Boolean default: false -- boolean 노드의 초기 transform상태를 Look At을 걸어줘도 유지하도록 합니다. 현재 상태를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합니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 $.rotation.controller.relative $.rotation.controller.relative = true cs 1번 라인은 현재 상태를 받아오는 명령이고, ..

Constraints - Look At(1)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부터 Constraints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모든 Constraints를 알아 보는것은 아니지만, 자주 사용되는 Constraints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그 첫 번째로 Look At을 하겠습니다. LookAt Constraint는 항상 다른 오브젝트를 보도록 오브젝트의 방향을 제한하는 Constraint입니다. LookAt Constraint는 Transform의 하위 Controller인 Rotation Controller에 적용됩니다. 우선 저는 본 하나와 포인트를 하나 만들었습니다. 본의 Rotation Controller를 Look At으로 만들어 포인트를 보도록 하며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Controller Key Functions 추가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Controller Key Functions를 마무리 짓는다고 했는데 빠진 부분이 있어서 추가를 하려고 합니다. ㅎㅎ 키를 컨트롤할 때 controller를 사용했는데 controller대신 track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numSelKeys $.pos.controller를 numSelKeys $.pos.track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Position, Rotation, Scale와 같은 타입을 가지고 작업을 했는데 그 외의 것에 대해서도 키 컨트롤러로 컨트롤이 가능합니다. Track View에서 표시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컨트롤이 가능합니다. 다음의 이미지를 보겠습니다. 위 이미지는..

Controller Key Functions(5)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오브젝트의 키를 조작하는 방법을 이야기하겠습니다. 오늘도 오브젝트를 하나 만들고 적당히 키를 만들어 놓겠습니다. 꼭 박스는 아니어도 됩니다. 현재 키는 6개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10F과 30F을 선택하고 선택한 키의 개수가 몇 개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을 알아보겠습니다. numSelKeys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실행해 봅시다. 1 numSelKeys $'Cone001'.pos.controller cs 결과 값이 0이 나옵니다. 이상하네요. 분명 두 개의 키를 선택했는데, 0이라고 나옵니다. 다음과 같이 바꿔서 입력하고 실행해 보겠습니다. 1 numSelKeys $'Cone001'.position.con..

Controller Key Functions(4)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오브젝트의 키를 조작하는 방법을 이야기하겠습니다. 역시나 박스를 하나 만들고 적당히 키를 만들어 넣겠습니다. 지금 만들어진 키가 총 6개가 있는데 이것을 알아보는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numKeys 키의 개수를 반환해 줍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실행을 해줍니다. 1 numKeys $'Box001'.pos.controller cs Positon의 키가 6개 있다고 반환을 해줍니다. 다음으로는 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getKey 1 getKey $'Box001'.pos.controller 1 cs 그랬더니 다음과 같이 애러가 발생합니다. -- Error occur..

Controller Key Functions(3)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오브젝트의 키를 조작하는 방법을 이야기하겠습니다. 지난번처럼 박스를 만들어 주고 적당히 키를 넣겠습니다. 스크립트 작업을 하다 보면 가끔 해당 키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isKeySelected Index의 값의 키가 선택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블린형 값을 사용합니다. 선택이 되었다면 true를 아니면 false를 출력합니다. 타임라인의 두번째 키인 10F의 키를 선택하고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실행해 봅시다. 1 2 isKeySelected $'Box001'.pos.controller 1 isKeySelected $'Bo..

Controller Key Functions(2)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오브젝트의 키를 조작하는 방법을 이야기하겠습니다. 어제처럼 박스를 만들고 적당히 키를 만들어 주겠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키를 선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electKeys [ | ] 지정한 키를 셀렉트 합니다. interval : 시간의 영역을 지정합니다. time : 원하는 시간을 지정합니다. 1 selectKeys $'Box001'.controller 10 cs 10이라는 값이 time(프레임)을 뜻하기 때문에 10F의 키가 선택되었습니다. 만약 25 ~ 45 프레임 사이의 키를 셀렉트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1 selectKeys $'Box001'.controller (inte..

Controller Key Functions(1)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저의 본업이 본업인지라 오늘은 오브젝트의 키를 조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ㅎㅎ 우선 맥스 뷰포트에서 박스를 하나 만들고 시작하겠습니다. 맥스를 열고 별다른 작업을 하지 않았다면 현재 프레임은 0프레임 일 겁니다. addNewKey [#select] 오브젝트에 키를 추가하는 기능입니다. 우선 0 프레임에 키를 생성하겠습니다. 1 addNewKey $'Box001'.controller 0 cs 0프레임에 키가 생겼습니다. 그런데 키를 보니까 Position, Rotation, Scale의 키가 모두 생성됐습니다. 필요에 따라 각각의 키를 따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10 프레임에는 Position, 20 프레임에는 Rota..

Object Properties(5)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Object Porperties를 마무리 지으려고 합니다. Multiplier 모션 블러 값을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Image상태에서만 값이 적용됩니다. 플로트 형 값을 사용합니다. 1 2 $.imageMotionBlurMultiplier $.imageMotionBlurMultiplier = 10 cs 1번 라인은 Multiplier의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번 라인은 Multiplier의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Endable 모션 블러를 사용 여부를 확인하거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블린형 값을 사용합니다. 1 2 $.motionBlurOn $.motionBlurOn = false cs 1번 라인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