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스스크립트 기본

Controller Key Functions 추가

스크립팅하는애님 2019. 11. 7. 16:2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번에 Controller Key Functions를 마무리 짓는다고 했는데 빠진 부분이 있어서 추가를 하려고 합니다. ㅎㅎ

 

키를 컨트롤할 때 controller를 사용했는데 controller대신 track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numSelKeys $.pos.controllernumSelKeys $.pos.track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Position, Rotation, Scale와 같은 타입을 가지고 작업을 했는데 그 외의 것에 대해서도 키 컨트롤러로 컨트롤이 가능합니다.

Track View에서 표시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컨트롤이 가능합니다.

다음의 이미지를 보겠습니다.

0프레임일때

 

10프레임일때

 

위 이미지는 0F일 때 Length가 500이고 10F일 때는 Length가 1000으로 변하게 키 애니메이션입니다.

이것을 Track View를 확인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와 같이 트랙에 그래프가 생성됐습니다.

 

Length의 키를 컨트롤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1
selectKeys  $.length.controller 10
cs

 

위 명령어는 현재 선택된 오브젝트(Box001)의 Length의 키 중 10F의 키를 선택하라는 것입니다.

이것을 응용하면 오브젝트의 많은 track에서 키를 생성하거나 조정할 수 있습니다.

 

Controller Key Functions에서는 키를 만들어주는 addNewKey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맥스의 Auto Key와 같이 값을 변형하는 명령어를 실함과 동시에 Key를 생성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animate라는 명령어입니다.

사용방법은 간단해서 다음과 같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현재 박스의 타임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에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해 보겠습니다.

 

1
2
3
4
5
6
animate on
(
    at time 20 $.pos = [100, 100, 100]
   at time 30 $.height = 100
    at time 40 $.lengthsegs  = 5
)
 
cs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스크립트의 내용은

우선 'animate on'으로 명령을 시작하며 '( )' 괄호 안의 명령들이 실행되면서 자동으로 키를 생성하게 됩니다.

라인 1번에서 애니메이션의 시작을 알리고 라인 2번에서 괄호를 열어 줍니다.

라인 3번은 30 프레임에서 선택한 오브젝트의 위치를 X : 100, Y : 100, Z : 100 이동시킵니다.

라인 4번은 40 프레임에서 선택한 오브젝트의 높이를 100으로 해주는 것인데 실제로는 1000mm 값이 나옵니다.

(저의 맥스의 유닛 단위가 mm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라인 5번은 50 프레임에서 선택한 오브젝트의 Length Segs의 값을 5로 변경해 줍니다.

라인 6에서 괄호를 닫아 주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은 적용은 여기서 끝이 납니다.

 

오늘은 이전 시간에 부족했던 부분과 키에 대해서 알아두면 좋은 것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맥스스크립트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straints - Look At(4)  (0) 2019.11.13
Constraints - Look At(3)  (0) 2019.11.12
Constraints - Look At(2)  (0) 2019.11.11
Constraints - Look At(1)  (0) 2019.11.08
Controller Key Functions(5)  (0) 2019.11.06
Controller Key Functions(4)  (0) 2019.11.05
Controller Key Functions(3)  (0) 2019.11.04
Controller Key Functions(2)  (2) 2019.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