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Extended Parameters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Standard>.opacityFallOffType
Falloff의 상태를 구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Int값을 사용하며 In은 0, Out는 1입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opacityFallOffType
(getMeditMaterial 1).opacityFallOffType = 1
|
cs |
<Standard>.opacityFallOff
Amt의 값을 구하거나 변할 할 수 있습니다.
변경하는 값은 float형식입니다.
에디터 상에는 int값으로 표시되지만 내부적으론 float형식이며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여 출력됩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opacityFallOff
(getMeditMaterial 1).opacityFallOff = 2.5
|
cs |
<Standard>.opacityType
Type의 상태 값을 구하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Int형 값을 사용하며 0은 Filter, 1은 subtractive, 2는 Additive입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opacityType
(getMeditMaterial 1).opacityType = 1
|
cs |
<Standard>.FilterColor
Type의 상태 값이 0(Filter) 일 경우 사용이 가능하며 색상 버튼의 색상 값을 구하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Color형 값을 사용합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FilterColor
(getMeditMaterial 1).FilterColor = color 255 128 128
|
cs |
<Standard>.filterMap
Type의 상태 값이 0(Filter) 일 경우 사용이 가능하며 맵 버튼의 맵 값을 구하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filterMap
(getMeditMaterial 1).filterMap = Bitmaptexture ()
|
cs |
<Standard>.ior
Index of Refraction의 값을 구하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float값을 사용합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ior
(getMeditMaterial 1).ior = 1.5
|
cs |
<Standard>.wireSize
Size의 값을 구하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float값을 사용합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ior
(getMeditMaterial 1).ior = 1.5
|
cs |
<Standard>.wireUnits
In의 값을 구하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Int형을 사용하며 0은 Pixels, 1은 Units입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wireUnits
(getMeditMaterial 1).wireUnits = 0
|
cs |
<Standard>.applyReflectionDimming
Apply 체크박스의 값을 구하거나 설정을 변경합니다.
블린값을 사용합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applyReflectionDimming
(getMeditMaterial 1).applyReflectionDimming = true
|
cs |
<Standard>.dimLevel
Dim Level의 값을 구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float형의 값을 사용하며 0 ~ 1까지의 값이 사용됩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dimLevel
(getMeditMaterial 1).dimLevel = 0.5
|
cs |
<Standard>.reflectionLevel
Refl. Level의 값을 구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float형을 사용하며 0.1 ~ 10까지의 값이 사용됩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reflectionLevel
(getMeditMaterial 1).reflectionLevel = 0.5
|
cs |
지금까지 Extended Parameters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메터리얼 에디터를 설명하며 해당 옵션의 결과가 맥스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제가 잘 알지 못하는 영역이기도 하고 제가 그 부분을 설명하는 것보다는 해당 부분을 자세히 설명하는 인터넷 정보나 책을 이용하시는 것이 정확한 정보를 습득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SuperSampling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맥스스크립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erial Editor(9) (0) | 2019.10.15 |
---|---|
Material Editor(8) (0) | 2019.10.14 |
Material Editor(7) (0) | 2019.10.11 |
Material Editor(6) (0) | 2019.10.10 |
Material Editor(4) (0) | 2019.10.08 |
Material Editor(3) (0) | 2019.10.07 |
Material Editor(2) (0) | 2019.10.04 |
Material Editor(1) (0) | 2019.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