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도 메터리얼 에디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Blinn Basic Parameters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Standard>.adTextureLock
위 이미지의 자물쇠의 사용 여부와 사용 결정을 하는 명령입니다.
블린형 값을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씁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adTextureLock
(getMeditMaterial 1).adTextureLock = false
|
cs |
<standard>.adLock
위 이미지의 Amboent와 Diffuse사이의 버튼의 사용 여부와 사용 결정을 하는 명령입니다.
블린형 값을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씁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adLock
(getMeditMaterial 1).adLock = false
|
cs |
<standard>.dsLock
위 이미지의 Diffuse와 Specular사이의 버튼의 사용 여부와 사용 결정을 하는 명령입니다.
블린형 값을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씁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adLock
(getMeditMaterial 1).adLock = true
|
cs |
<Standard>.ambient
위 이미지의 Amboent컬러 슬롯의 컬러 값을 확인 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입니다.
컬러값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씁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ambient
(getMeditMaterial 1).ambient = (color 0 0 0)
|
cs |
<Standard>.Diffuse
위 이미지의 Diffuse컬러 슬롯의 컬러 값을 확인 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입니다.
컬러값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씁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Diffuse
(getMeditMaterial 1).Diffuse = (color 0 0 0)
|
cs |
<Standard>.Specular
위 이미지의 Specular컬러 슬롯의 컬러 값을 확인 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입니다.
컬러값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씁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Specular
(getMeditMaterial 1).Specular= (color 0 0 0)
|
cs |
<Standard>.diffuseMap
위 이미지의 Diffuse의 맵 버튼의 값을 확인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입니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diffuseMap
(getMeditMaterial 1).diffuseMap = Bitmaptexture()
|
cs |
사실 위의 이미지와 같은 이름을 쓰면 좋겠지만 다른 것들이 있습니다. ㅎㅎ
위 이미지의 순서대로 다음과 같이 대응됩니다.
BitmapTexture (), Camera_Map_Per_Pixel (), Cellular (), Checker (), Color_Correction (), Combustion (), Composite (), Dent (), Falloff (), FlatMirror (), Gradient (), Gradient_Ramp (), MultiOutputChannelTexmapToTexmap (), Marble (), Mask (), Mix (), Noise (), Normal_Bump (), Output (), Particle_Age (), Particle_Mblur (), Perlin_Marble (), Raytrace (), Reflect_Refract (), RGB_Multiply (), RGB_Tint (), Smoke (), Speckle (), Splat (), Stucco (), Substance (), Swirl (), Thin_Wall_Refraction (), Bricks (), Vector_Displacement (), Vector_Map (), Vertex_Color (), Water (), Wood ()
앞으로 나오는 맵 버튼들도 동일한 맵을 사용 하니까 기억해 두세요.(이후에는 적지 않겠습니다.)
Bitmaptexture의 경우 맵을 적용함과 동시에 텍스처를 선택하게 되는데요.
그렇게 맵을 적용과 동시에 텍스처도 넣을 때는 다음과 같이 입력하시면 됩니다.
1
|
(getMeditMaterial 1).diffuseMap = Bitmaptexture fileName:"C:\Users\Administrator\Documents\3dsmax\sceneassets\images\BARK5.jpg"
|
cs |
fileName을 사용하여 문자열로 원하는 위치와 파일명을 입력하여 사용합니다.
<Standard>.specularMap
specularMap의 맵 버튼의 값을 확인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입니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1
2
|
(getMeditMaterial 1).specularMap
(getMeditMaterial 1).specularMap = Bitmaptexture ()
|
cs |
설명이 생각보다 길어졌습니다.
Blinn Basic Parameters의 나머지 부분은 다음 시간에 계속하겠습니다.
'맥스스크립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erial Editor(7) (0) | 2019.10.11 |
---|---|
Material Editor(6) (0) | 2019.10.10 |
Material Editor(5) (0) | 2019.10.09 |
Material Editor(4) (0) | 2019.10.08 |
Material Editor(2) (0) | 2019.10.04 |
Material Editor(1) (0) | 2019.10.03 |
User Defined (4) | 2019.10.02 |
문자열(String) 함수(5) (0) | 2019.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