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문자열 관련 함수를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문자열 관련 함수는 꽤 오랫동안 잡고 있었네요.
저로서는 자주 쓰고 유용하게 쓰는 함수이기 때문에 자세히 설명해왔습니다.
문자열 추가
<string>append <string1> <string2>
배열을 배웠을때 append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배열과 문자열은 여러 개의 값이 하나의 변수에 들어가 있는 부분이 비슷하기 때문에 같은 형태의 많은 함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append는 문자열을 합친 후 문자열 형태로 반환합니다.
<string2>은 <string1>뒤에 붙을 문자열입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 후 실행해 봅시다.
1
2
|
a = "1234"
b = append a "abcd"
|
cs |
결과는 이야기하지 않아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런데 여기서 잠깐!!
다음을 실행해 봅시다.
1
2
3
4
5
|
s1 = "aa"
s2 = s1
append s1 "bb"
s1format "s1 = %\n" s1
s2format "s2 = %\n" s2
|
cs |
s1의 결과가 aabb인 것은 이해가 가는데 s2가 aabb인것은 이상해 보입니다.
하지만 s2가 aabb로 나오는 것이 맞는 것입니다.
이것은 '문자열변수1 = 문자열변수2'와 같은 방식으로 문자열 변수1에 문자열변수2를 입력하면 aabb라는 값이 입력 되는 것이 아니라 문자열변수2의 메모리상 주소가 문자열 변수1에 입력되기 때문입니다.
문자열변수1의 값을 확인하면 문자열변수2의 주소를 통해 문자열변수2의 값인 aabb가 출력됩니다.
이상태에서 문자열변수2의 값을 변경하면 주소를 통해 값을 불러오는 문자열변수1의 값도 변경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맥스 스크립트에서는 참조(레퍼런스)한다고 합니다.
문자열을 대(소) 문자로 변경
toUpper <string>
문자열의 소문자를 모두 대문자로 변경합니다.
toLower <string>
문자열의 대문자를 모두 소문자로 변경합니다.
이것들의 예제를 따로 적지는 않겠습니다.
해보면 쉽게 아실 겁니다.
문자열 바꾸기 2
substituteString <source_string> <from_string> <to_string>
replaces와 비슷하게 원하는 문자열을 변경하는 역할을 하며 다른 점은 substituteString은 바꾸고 싶은 문자열과 바꿀 문자열이 필요합니다.
<from_string>은 바꾸고 싶은 문자열입니다.
<to_string>은 바꿀 문자열입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확인해 봅시다.
1
2
3
4
|
s1 = "Truth, Justice And The American Way"
s2 = "The American Way"
s3 = "All That Stuff"
s4 = substituteString s1 s2 s3
|
cs |
어려운 내용은 없네요.
s1에서 바꾸고 싶은 문자열인 s2를 s3로 바꾸는 것입니다.
드디어 오늘로 문자열 관련 함수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막상 마치고 나니 다음에 뭘 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ㅎㅎ
'맥스스크립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erial Editor(3) (0) | 2019.10.07 |
---|---|
Material Editor(2) (0) | 2019.10.04 |
Material Editor(1) (0) | 2019.10.03 |
User Defined (4) | 2019.10.02 |
문자열(String) 함수(4) (0) | 2019.09.03 |
문자열(String) 함수(3) (0) | 2019.09.02 |
문자열(String) 함수(2) (0) | 2019.09.01 |
문자열(String) 함수(1) (0) | 2019.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