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계속해서 Position Constraint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Keep Initial Offset
<Position_Constraint>.relative Boolean default: false -- boolean
노드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변경합니다.
true는 타깃이 되는 노드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고, false는 초기에 만들어진 위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
|
$'Point001'.position.controller.relative
$'Point001'.position.controller.relative = true
|
cs |
1번 라인은 위치의 설정을 확인합니다.
2번 라인은 위치의 설정을 변경합니다.
이전 시간의 내용부터 위의 명령어 까지가 맥스 Position Constraint UI에 있는 내용이고, 다음은 외부에서는 설정할 수 없지만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명령어입니다.
타깃의 개수
<integer>getNumTargets ()
타깃 리스트에서 추가된 타깃의 개수를 확인하여 반환합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실행하여 봅시다.
1
|
$'Point001'.position.controller.getNumTargets ()
|
cs |
현재 타깃 리스트에 타깃의 수는 1개 이기 때문에 1 값을 반환합니다.
선택한 노드 찾기
<node>getNode <index>targetNumber
찾기 원하는 번호를 입력하여 노드를 반환받습니다.
<index>targetNumber : 타깃 리스트의 순번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
$'Point001'.position.controller.getNode 1
|
cs |
현재 타깃 리스트에 있는 노드가 1개 이므로 1을 넣었습니다.
2를 넣으면 없는 값이므로 undefined를 반환합니다.
Position Constraint의 내용은 짧기 때문에 2번에 나누어서 마칠 수 있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Orientation Constraint에 대해서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맥스스크립트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straints - Link(2) (0) | 2019.11.21 |
---|---|
Constraints - Link(1) (0) | 2019.11.20 |
Constraints - Orientation(2) (0) | 2019.11.19 |
Constraints - Orientation(1) (0) | 2019.11.18 |
Constraints - Position(1) (0) | 2019.11.14 |
Constraints - Look At(4) (0) | 2019.11.13 |
Constraints - Look At(3) (0) | 2019.11.12 |
Constraints - Look At(2) (0) | 2019.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