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이야기할 것은 Link Constraint입니다.

Start Time
Target List에서 선택한 노드의 Link Constraint이 적용되는 시작 Frame을 정합니다.
<boolean>setFrameNo <index>targetNumber <integer>frameNo
<index>targetNumber : Target List에 추가된 노드 순번입니다.
<integer>frameNo : Link Constraint의 적용 시작 시간입니다.
명령어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
$'Box001'.controller.setFrameNo 1 10
|
cs |
위 내용은 Box001의 Link Constraint의 Target List 1번의 노드에 적용 시작되는 시간이 10 Frame라는 의미입니다.
Key Mode
Link Constraint의 객체에 키 프레임이 작성되는 방식을 결정합니다.
<Link_Constraint>.key_mode Integer default: 0 -- integer; Link_KeyMode
입력되는 Integer는 다음과 같습니다.
0 : No Key
1 : Key Nodes
2 : Key Entire Hierarchy
명령어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
$'Box001'.controller.key_mode = 1
|
cs |
위 내용은 Box001의 Link Constraint의 Key Mode를 Key Nodes로 정한다는 것입니다.
Key Mode의 하위 옵션
하위 옵션에는 Key Nodes와 Key Entire Hierarchy에 각각 Child와 Parents옵션이 있습니다.
<Link_Constraint>.key_modes_mode Integer default: 0 -- integer; Link_KeyModes_Mode
No Key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사용되는 Integer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0 : Child
1 : Parents
명령어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
$'Box001'.controller.key_nodes_mode = 1
|
cs |
위 내용은 Key Mode의 하위 옵션을 Parents로 한다는 것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이야기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Link Constraint에 대해서 추가로 설명할 부분을 적고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맥스스크립트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onstraints - Path(3) (0) | 2019.11.27 |
|---|---|
| Constraints - Path(2) (0) | 2019.11.26 |
| Constraints - Path(1) (0) | 2019.11.25 |
| Constraints - Link(3) (0) | 2019.11.22 |
| Constraints - Link(1) (0) | 2019.11.20 |
| Constraints - Orientation(2) (0) | 2019.11.19 |
| Constraints - Orientation(1) (0) | 2019.11.18 |
| Constraints - Position(2) (0) | 2019.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