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Material Editor에서 알아두면 좋은 부분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아마 Material Editor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은 오늘로 끝내겠습니다.
(물론 중요한 것들이 있으면 차 후에도 조금씩 이야기하겠습니다. ㅎㅎ)
우선 Material Editor와 MAXScript Listener를 열어 줍니다.
위 이미지의 우측 중앙의 메터리얼 선택 버튼을 눌러서 Blend를 선택해 줍니다.
Discard old Material?을 선택한 후 MAXScript Listener를 확인해 봅니다.
위 이미지와 같이 MAXScript Listener에 'meditMaterials[1] = Blend ()'가 나옵니다.
지금까지는 Material Editor의 슬롯을 지정할 때 'getMeditMaterial'을 사용했는데요.
'meditMaterials'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기존에 이야기했던 '(getMeditMaterial 1)'은 'meditMaterials [1]'과 동일합니다.
이번에는 Material Editor에 있는 슬롯 1번의 이름을 'MyMap'으로 변경해 봅시다.
그러면 MAXScript Listener에 'meditMaterials [1]. name = "MyMap"'이라고 나옵니다.
이것을 이용하면 Material Editor의 나머지 부분도 쉽게 확인하고 스크립트로 만들 수 있습니다.
Shader Basic Parameters의 Wire, 2-Sided, Face Map, Faceted가 기본적으론 체크가 꺼져 있습니다.
모두 체크를 해봅시다.
meditMaterials [1]. wire = on
meditMaterials [1]. faceMap = on
meditMaterials [1]. twoSided = on
meditMaterials [1]. faceted = on
와 같이 출력이 됩니다.
지금까지는 체크 박스의 경우 블린 형으로 true, false를 사용했는데 여기서는 on, off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도 확인하면서 의아했는 데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ㅎㅎ
이런 식으로 MAXScript Listener를 확인해 보면 여러 가지 스크립트 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나옵니다.
물론 꼭 모든 내용이 다 출력이 되지는 않습니다.
(모두 출력이 된다면 정말 좋을 텐데 아쉽게도 출력이 되는 것과 출력되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무엇을 이야기할지 고민되네요.
막상 닥치면 뭔가 할 것이 나오겠죠. ㅎㅎ
'맥스스크립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Object Properties(1) (3) | 2019.10.24 |
---|---|
Time Configuration Dialog(3) (0) | 2019.10.23 |
Time Configuration Dialog(2) (0) | 2019.10.22 |
Time Configuration Dialog(1) (0) | 2019.10.21 |
Material Editor(11) (0) | 2019.10.17 |
Material Editor(10) (0) | 2019.10.16 |
Material Editor(9) (0) | 2019.10.15 |
Material Editor(8) (0) | 2019.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