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스스크립트 기초

Object Properties(1)

스크립팅하는애님 2019. 10. 24. 02:36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오브젝트의 속성을 조절할 수 있는 Object Porperties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이 녀석은 익혀두시면 쏠쏠하게 쓸 일이 많습니다.

각 항목이 하는 역활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해당 내용을  전문적으로 설명하는 사이트나 책을 참고하시는 게 좋습니다.

(이전에 배웠던 내용이 있지만 따로 구분하기 번거롭기 때문에 중복 되더라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Name

오브젝트의 이름을 확인하거나 설정합니다.

문자열형 값을 사용합니다.

<node>.name

 

1
2
$.name
$.name = "MyObject"
cs

 

1번 라인은 현재 선택한 오브젝트의 이름을 알아냅니다.

2번 라인은 현재 선택한 오브젝트의 이름을 변경합니다.

 

 

Hide

오브젝트의 하이드 상태를 확인하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블린형 값을 사용합니다.

 

1
2
$.isHidden
$.isHidden = true
cs

 

1번 라인은 현재 선택한 오브젝트의 하이드 상태를 알아냅니다.

2번 라인은 현재 선택한 오브젝트를 하이드 합니다.

 

 

Freeze

오브젝트의 프리즈 상태를 확인하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블린형 값을 사용합니다.

 

1
2
$.isFrozen
$.isFrozen = true
cs

 

1번 라인은 현재 선택한 오브젝트의 프리즈 상태를 알아냅니다.

2번 라인은 현재 선택한 오브젝트를 프리즈 합니다.

 

 

See-Through

오브젝트의 씨-뜨루의 상태를 알아내거나 설정합니다.

블린형 값을 사용합니다.

 

1
2
$.xray
$.xray = true
cs

 

1번 라인은 현재 씨-뜨루의 상태를 알아냅니다.

2번 라인은 현재 씨-뚜르를 활성화하여 뷰포트에서 반투명하게 합니다.

 

 

Display as Box

오브젝트가 박스 형태로 간략하게 보이는 지를 알아내거나 설정을 합니다.

블린형 값을 사용합니다.

 

1
2
$.boxMode 
$.boxMode = true
cs

 

1번 라인은 선택한 오브젝트가 박스 형태로 보이는지를 알아냅니다.

2번 라인은 선택한 오브젝트를 박스 형태로 변경합니다.

 

 

Backface Cull

오브젝트의 뒷면을 표시하는지를 알아내거나 설정을 합니다.

블린형 값을 사용합니다.

 

1
2
$.backFaceCull
$.backFaceCull = true
cs

 

1번 라인은 선택한 오브젝의 뒷면을 표시하는지를 알아냅니다.

2번 라인은 선택한 오브젝트의 뒷면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Edges Only

숨겨진 에지의 표시 여부를 확인하거나 설정합니다.

블린형 값을 사용합니다.

 

1
2
$.allEdges 
$.allEdges = true
cs

 

1번 라인은 선택한 오브젝트의 숨겨진 에지의 표시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2번 라인은 선택한 오브젝트의 숨겨진 에지를 표시합니다.

Object Porperties 다이얼로그에서는 false가 체크상태이고 true가 비 체크 상태입니다.

이것은 스크립트의 명령이 allEdges(모든엣지)이기 때문에 true가 된다는 것은 다이얼로그의 Edges Only(실선 전용)와 반대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Vertex Ticks

오브젝트의 버택스 표시 여부의 확인을 하거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블린형 값을 사용합니다.

 

1
2
$.vertexTicks 
$.vertexTicks = true
cs

 

1번 라인은 현재 오브젝트의 버택스 표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번 라인은 현재 오브젝트에 버택스를 표시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이야기하고,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맥스스크립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Object Properties(5)  (0) 2019.10.30
Object Properties(4)  (0) 2019.10.29
Object Properties(3)  (0) 2019.10.28
Object Properties(2)  (0) 2019.10.25
Time Configuration Dialog(3)  (0) 2019.10.23
Time Configuration Dialog(2)  (0) 2019.10.22
Time Configuration Dialog(1)  (0) 2019.10.21
Material Editor(12)  (0) 2019.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