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스스크립트 기본

Callback(16) : Render Dialog and Renderer Plugin / Schematic View / Undo System Notifications

스크립팅하는애님 2021. 2. 13. 16:1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계속해서 callback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Render Dialog and Renderer Plugin Notifications

#tabbedDialogCreated: #(integer, integer) 

tabbed render dialog가 생선 된 후 보내집니다.

 

#tabbedDialogDeleted: #(integer, integer) 

tabbed render dialog가 삭제된 후 보내집니다.

 

#renderParamsChanged: undefined 

일반 렌더러 매개 변수가 변경될 때 마다 보내 집니다.

 

#preRendererChange: undefined 

현재 랜더러나 렌더러 유형중 하나를 변경하기 전에 보내집니다.

 

#postRendererChange: undefined 

현재 랜더러나 렌더러 유형중 하나를 변경한 후에 보내집니다.

 

 

Schematic View Notifications

#svSelectionSetChanged: integer 

Schematic View 선택 설정을 변경한 후에 보내집니다.

콜백 함수 내에서 callbacks.notificationParam()을 호출하면 Schematic View의 인덱스 값을 반환합니다.

 

#svDoubleClickGraphNode: undefined 

사용자가 Schematic View의 노드를 더블 클릭하면 보내집니다.

 

#svPreLayoutChange: integer 

Schematic View를 레이아웃 알고리즘에 적용하기 전에 보내집니다.

콜백 함수 내에서 callbacks.notificationParam()을 호출하면 Schematic View의 인덱스 값을 반환합니다.

 

#svPostLayoutChange: integer 

Schematic View를 레이아웃 알고리즘에 적용한 후에 보내집니다.

콜백 함수 내에서 callbacks.notificationParam()을 호출하면 Schematic View의 인덱스 값을 반환합니다.

 

 

Undo System Notifications

#sceneUndo: string 

Scene undo 한 후 보내집니다.

콜백 함수 내에서 callbacks.notificationParam()을 호출하면undo 한 항목의 이름이 반환됩니다.

이 기능은 Max8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ceneRedo: string 

Scene redo 한 후 보내집니다.

콜백 함수 내에서 callbacks.notificationParam()을 호출하면 redo한 항목의 이름이 반환됩니다.

이 기능은 Max8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eSceneRedo: string 

Scene redo 하기 전에 보내집니다.

콜백 함수 내에서 callbacks.notificationParam()을 호출하면 redo한 항목의 이름이 반환됩니다.

 

#preSceneUndo: string 

Scene undo 하기 전에 보내집니다.

콜백 함수 내에서 callbacks.notificationParam()을 호출하면 undo한 항목의 이름이 반환됩니다.

 

#postRestoreObjsDeleted: unefined 

undo system이 플래시 되고 undo system에 하나 이상의 RestoreObj가 있을 때 전송됩니다.

 

영어와 일본어 맥스 헬프를 번갈아 보며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맥스 헬프도 오타가 꽤나 있네요. 아마 복붙을 하면서 수정을 할 부분을 빼놓고 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역시 사람은 눈치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ㅎㅎㅎ

이제 callback도 조금 남은 듯한 느낌 같은 느낌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