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 할 이야기는 맥스 스크립트에서 Text파일을 만들고 내용을 입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저는 바이패드에서 다 저장할 수 없는 더미나 본의 값을 저장한다던가 세팅한 옵션 값을 따로 빼놓는 등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라 매우 좋아합니다.
파일 생성
createFile <filename_string>
텍스트형태의 파일을 생성합니다.
만약 파일 생성을 할 수 없으면 undefined값을 돌려줍니다.
파일 열기
openFile <filename_string> [ mode:<mode_string> ]
윈도우에 저장된 파일을 엽니다.
[ mode:<mode_string> ]는 파일을 열 때 어떤 형식으로 열지를 문자열로 정합니다.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r : 읽기전용 text, 파일이 존재해야 함
rt : 읽기전용 text, 파일이 존재해야 함
rb : 읽기전용 binary, 파일이 존재해야 함
r+ : 읽기/쓰기 가능 text, 파일이 존재해야 함
a : 쓰기전용 text, 쓰기 추가, 파일이 존재해야 함
at : 쓰기전용 text, 쓰기 추가, 파일이 존재해야 함
ab : 쓰기전용 binary, 쓰기 추가, 파일이 존재해야 함
a+ : 읽기/쓰기 가능 text, 쓰기 추가, 파일이 존재해야 함
w : 쓰기전용 text, 파일이 있으면 지우고 씀
wt : 쓰기전용 text, 파일이 있으면 지우고 씀
wb : 쓰기전용 binary, 파일이 있으면 지우고 씀
w+ : 읽기/쓰기 test, 파일이 있으면 지우고 씀
파일 닫기
close <filestream>
파일을 생성하거나 오픈한 후 작업이 끝나면 파일을 닫습니다.
만약 파일이 열린 상태에서 스크립트에 오류가 나면 계속 열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삭제나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그런 일이 있다면, 강제로 해당 파일을 close <filestream>로 닫아 주셔야 합니다.
파일에 입력
format <fmt_string> { <value> } to:<filestream>
새로생성 하거나 오픈하여 열려 있는 파일에 text로 된 문자를 입력합니다.
지금까지 사용한 format문에 to:<filestream>가 추가 됩니다.
여기까지 예제 없이 읽기만 하셨으니 예제를 하나 만들어 봅시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실행을 해 봅시다.
1
2
3
4
5
|
file = "D:\\test\\test.mfl"
filestm = createFile file
outputData = "테스트 용입니다."
format "%" outputData to:filestm
close filestm
|
cs |
이렇게 MAXScript Listener에서 별문제 없이 실행이 완료됐다면 해당 폴더에 파일을 찾아 열어 봅시다.
생각보다 FileStream관련 내용이 많아서 여기서 끊고 다음 시간에 계속 이야기를 해야겠네요.
openfile의 예제도 내일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맥스스크립트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troller Key Functions(3) (0) | 2019.11.04 |
---|---|
Controller Key Functions(2) (2) | 2019.11.01 |
Controller Key Functions(1) (0) | 2019.10.31 |
파일 열기와 저장(8) FileStream(2) (2) | 2019.08.30 |
파일 열기와 저장(6) FBX Export 옵션 (2) | 2019.08.28 |
파일 열기와 저장(6) Export, Import (0) | 2019.08.27 |
파일 열기와 저장(5) 다이얼로그로 폴더 지정 (0) | 2019.08.26 |
파일 열기와 저장(4) 다이얼로그로 Path, FileName지정 (0) | 2019.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