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계속해서 바이패드 노드 키의 하위 옵션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이전 시간에 했던 것 같이 바이패드를 생성하고 적당히 키를 넣어 주겠습니다.
<bipedkey>.tension Float Default: 25.0
바이패드 키의 tension값 수치를 확인하거나 조절할 수 있습니다.

왼쪽 종아리 3번째 키인 8 Frame의 키를 이용하여 진행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변수에 키를 등록하겠습니다.
|
1
|
myKey = biped.getKey $.controller 3
|
cs |
이제 myKey변수에 키값이 등록되었습니다.
이전 시간처럼 변수에 등록하지 않고 사용할 때마다 'biped.getKey' 명령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1번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여러 번 사용할 경우 변수에 등록해서 사용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우선 타이 필수가 적어지는 장점이 있고, 가장 중요하게는 한번 명령어를 실행하여 변수에 저장해 놓으면 다음부터는 명령을 실행하는 시간을 사용하지 않고 실행되기 때문에 더 빠르게 스크립트가 작동을 합니다.
(사실 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맥스 스크립트는 빠른 것보다 정확한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제가 보기 편하게 풀어쓰는 경향이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하시는 분들이 보면 미련해 보이겠죠. ㅎㅎㅎ)
현재 프레임을 8F로 이동합니다.
이제 'Commond Panel > Motiron > Key Info > TCB'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키를 만들고 따로 설정한 것이 없다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tension' 값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
1
|
myKey.tension
|
cs |

Commond Panel의 TCB에 tension값이 25입니다.
당연히 MAXScript Listener의 결과 값에도 25라고 나옵니다.
Float Default: 25.0 : 기본값도 25로 되어 있네요.
값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았으니 이번에는 변경해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확인해 보겠습니다.
|
1
|
myKey.tension = 0
|
cs |

텐션 값이 0으로 바뀌고 그래프의 모양이 변경되었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bipedkey>.continuity Float Default: 25.0
<bipedkey>.bias Float Default: 25.0
<bipedkey>.easeTo Float Default: 0.0
<bipedkey>.easeFrom Float Default: 0.0
들이 있습니다.
내용을 확인해 보면 위로부터 'Continuity', 'Bias', 'Ease To', 'Ease From'값을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은 '<bipedkey>. tension'명령어와 동일합니다.
<bipedkey>.type Name Default: Varies -- 읽기전용
현재 지정한 키가 어떤 종류인지 읽어 올 수 있습니다.
읽기 전용이기 때문에 입력할 수는 없습니다.
키의 종류에 따라 #vertical, #horizontal, #turning, #body, #biped, #head, #prop로 나뉩니다.
키 유형에 따른 추가 속성도 존재합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지금 지정한 키의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
1
|
myKey.type
|
cs |

다리는 '#body' 종류로 나오네요.
오늘은 여기까지 이야기하고 나머지 부분은 다음 시간에 계속하겠습니다.
'맥스스크립트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Biped Copy and Paste Posture Methods(1) (0) | 2021.03.02 |
|---|---|
| BipedKey(5) (2) | 2021.03.01 |
| BipedKey(4) (0) | 2021.02.28 |
| BipedKey(3) (0) | 2021.02.27 |
| Biped Keys(3) / BipedKey(1) (0) | 2021.02.25 |
| Biped Keys(2) (0) | 2021.02.24 |
| Biped Keys(1) (0) | 2021.02.23 |
| Biped Transforms Methods(2) (0) | 202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