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계속해서 callback의 형 이름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callback_type_name>이라고 설명이 나와서 '형 이름'이라고 적었는데 정확히는 '이벤트명'이라고 나오네요. 이후에는 '이벤트명'이라고 하겠습니다.)
Callback Event Names and notificationParam Return Values
callback 이벤트명과 notificationParam값을 되돌려줍니다. 만약 notificationParam값이 undefined로 되돌려진다면 값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callback은 맥스의 버전이 올라갈 때마다 새롭게 추가되고 있다고 하니 제가 설명하는 것 중에는 없는 것도 있을 수 있습니다. 저는 2020 버전을 기준으로 진행하며 정확한 내용은 저도 이해가 부족해 최대한 헬퍼를 이용해 객관적인 정보만 적겠습니다.)
ActionItem Notifications
#actionItemExecutionEnded: array
actionItem의 실행이 종료될 때 전달됩니다.
callbacks.notificationParam()를 사용하면 두 개의 배열 값을 리턴합니다.
1. 작업 항목의 이름
2. 작업 항목의 ID
#actionItemExecutionStarted: array
actionItem의 실행이 시작됐을 때 전달됩니다.
callbacks.notificationParam()를 사용하면 두개의 배열 값을 리턴합니다.
1. 작업 항목의 이름
2. 작업 항목의 ID
#actionItemHotKeyPostExecute: array
키보드의 단축키 (핫키)를 사용하여 actionItem이 실행되기 전에 전달됩니다.
callbacks.notificationParam()를 사용하면 두 개의 배열 값을 리턴합니다.
1. 작업 항목의 이름
2. 작업 항목의 ID
#actionItemHotkeyPreExecute: array
키보드의 단축키 (핫키)를 사용하여 actionItem이 실행된 후에 전달됩니다.
callbacks.notificationParam()를 사용하면 두 개의 배열 값을 리턴합니다.
1. 작업 항목의 이름
2. 작업 항목의 ID
actionItem이 처음 보는 이름이라 뭐에 쓰는 것인지 몰라 찾아봤는데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맥스의 메인 메뉴에 원하는 항목을 추가하는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련 명령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맥스 핼퍼에서 Interface: actionMan(Interfaces > Core Interfaces > actionMan)에서 찾아보시면 나옵니다.
역시나 어께 너머로 배웠기 때문인지 모르는 내용이 많이 있네요.
본업도 아니고 지금 업무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이정도에도 만족 스럽습니다.
여러분도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천천히 따라 하면서 이런것도 있구나라는 생각으로 기억만 하다가 필요하면 찾아 보시면 좋습니다.(주절주절 변명이 기네요. ㅎㅎ)
오늘은 여기까지 이야기 하고 다음에는 Animation Notifications와 Direct3D Device Notification 그리고 FileLink Device Notification에 대해서 이야기 하겠습니다.
'맥스스크립트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llback(8) : File Notifications(3) (0) | 2021.02.05 |
---|---|
Callback(7) : File Notifications(2) (0) | 2021.02.04 |
Callback(6) : File Notifications(1) (0) | 2021.02.03 |
Callback(5) : Animation / Direct3D / FileLink Device Notification (0) | 2021.02.02 |
Callback(3) : 확인 (0) | 2021.01.31 |
Callback(2) : 삭제 (0) | 2021.01.30 |
Callback(1) : 소개와 추가 (0) | 2021.01.29 |
Wire Parameter(2) (0) | 2019.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