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5

[추가] 선택한 오브젝트 확인

안녕하세요,스크립트하는 애님입니다.오늘은 'OnlyCat'님이 질문 올리신 것에 대해 잠깐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OnlyCat'님은 현재 선택된 오브젝트를 하나씩 배열에 넣고 싶은데,a=#()append a ($ as array)라고 했을 경우 선택한 오브젝트가 복수 일때는 정상 작동을 하지만, 단수일 때는 오류가 발생한다고 합니다.그래서 count 명령어로  갯수가 단수인지 복수인지를 확인하고 싶어$.count를 하면, 복수일때는 $가 배열 형태를 갖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한 개만 선택하면 $은 배열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selection' 또는 '$selection'입니다.(둘다 동일합니다.)박스 2개를 만들고 하나만 선택하고 '$'라고 MAXScrip..

게시판 설명과 잡설

안녕하세요,스크립트하는 애님입니다.요즘 여기에는 질문이 올라오면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는 질문엔 해결방법을 알려드리고, 그렇지 못하면 죄송하다고 말씀드리기 위해 들리고 있습니다.사실 저도 작업하다가 '뭐였지?'하면 확인하기 위해 자주 들리고 있긴 합니다. ㅎㅎㅎ그러다 보면  종종 다른 분들이 이해가 가지 않거나 본인 작업중에 막히시는 부분이 있으시면 질문을 주시는 일이 있는데요. 이 블로그를 처음 만들때 카페로 할 것인가, 블로그로 할 것인가 고민을 했습니다.그때만 해도 다음의 ' OYH의 MAX script' 카페가 활성화가 됐었고, (저도 많이 신세 졌습니다.)네이버의 TAN - Technical Artists Network' 카페도 그에 못지않게 활성화 됐기 때문에,'제가 궁금할 때 접근해서 확인하..

단축키 설정(Hot K)

안녕하세요, 새로운 글을 쓴 지 얼마나 지났는지도 기억이 안 나네요. '핫키'님이 질문 주신 맥스 2020 이후 단축키 설정이 바뀌어 바뀐 설정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시다고 했는데요. 원래라면 더 빨리 설명을 드렸어야 하는데, 회사 게임의 지스타 출품 준비 기간과 그 후 체력소진에 따른 건강 문제로 한 달이 지나서 답변을 드리게 됐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사과를 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nUl8Qvpbdk 를 참고하시면 제가 남기는 내용보다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고요. 저는 단축키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이전 버전의 내용은 https://animaxscript.tistory.com/53 맥스 스크립트의 유형(1)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

'selectKeys'의 응용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이야~~ 아주 오래간만에 뵙습니다. 다들 건강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오늘 이렇게 글을 올리게된 이유는 '배울것이 너무 많아'님이 올리신 질문 때문인데요. 질문의 내용은 내가 선택한 키 이후(이전)부터 타임 슬라이더바 까지의 키들을 모두 선택하고 싶다였습니다. 기본적인 명령어는 '맥스스크립트 기본'의 'Controller Key Functions' 게시물을 찾아보시면 나오니 명령어에 대한 세세한 설명은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본격적인 설명 전에 사전 설명을 하나 해야겠는데요. 맥스의 키 관련 작업을 하시는 분은 잘 아시겠지만 타임슬라이더에 있는 키가 같은 곳에서 보일 뿐이지 모두 동일한 키가 아닙니다. 컨스트레인의 키, 트..

맥스의 유닛 변경하기

안녕하세요, 오~~ 랜만에 돌아온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MAX Script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며칠 전 'figs'님이 유닛 셋업의 변경에 관해 질문을 하셔서 그것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질문의 내용은 스크립트로 맥스파일을 임포트 할 때 '#noPrompt' 사용하면 옵션창이 열리지 않아 수동으로 번거롭게 유닛을 셋업해야 하는데 스크립트로 한방에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입니다. 맥스 파일을 로드하거나 임포트 하는 방법은 이전 내용(맥스 스크립트 기본의 파일 열기와 저장)을 참고하시고 파일을 열거나 임포트 한 후 셋업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맥스의 유닛은 메인 메뉴의 'Customize > Units Setup...'에서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Units Setup.....

Hierarchy > Link Info > Lock 변경하기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MAX Script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이야 정말로 오래간만에 글을 올립니다. 다들 예방접종은 잘 맞으셨는지요? 빨리 코시국이 끝났으면 좋겠네요. 오늘은 2일전 쯤 'TANKS'님이 질문을 주셔서 그 부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해결방법을 알아 내셨는지 지금은 질문을 삭제하셨는데요.(ㅎㅎㅎ 제가 게을러서 타이밍을 놓쳤네요.) 기억하기론 작업을 할때마다 특정 형식의 파일을 열면 'Hierarchy > Link Info > Lock'이 모두 잠겨 있어서 이 부분을 모두 열어 주는 것이 번거로워서 스크립트로 해결하고 싶다 였을 겁니다.(대충 그런 느낌이었습니다.) 관련된 기능은 저도 써본적이 없어서 '역시 맥스는 넓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구글링을 해보니 해..

배치스크립트 2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MAX Script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서 배치 스크립트를 계속 진행하겠습니다. 우선 지난시간까지 작업한 내용을 보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exportBone = #($'Tube001', $'Teapot001') select exportBone pluginManager.loadClass FBXExporter FBXExporterSetParam "SmoothingGroups" true FBXExporterSetParam "NormalsPerPoly" false FBXExporterSe..

배치스크립트 1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MAX Script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래간만에 글을 남기네요. ㅎㅎㅎ 여전히 바쁜 본업에 근근이 살고 있는 애님입니다. 얼마 전에 '^^'님이 배치 스크립트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달라는 의견을 써주셨습니다. 제 블로그에 배치스크립트에 관한 내용이 있기는 한데, 여기저기 조금씩 나와있어서 다 찾아서 자신의 것으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는 합니다. 저 역시 '책이나 인터넷을 보며 알게 된 내용을 어디 한 곳에 모아 놓는 것'도 하나의 목적으로 블로그를 시작했는데 블로그의 한계인지 제가 블로그질을 못하는 건지 제가 적은 내용을 찾는 게 생각보다 힘들 기는 합니다. (이렇게 찾는 경우엔 인쇄된 책이 확실히 편합니다. ㅎㅎ) '^^'님이 남기신 내용은 요약하지면 '다수..

안녕하세요, 궁금한 기능 질문 받습니다.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MAX Script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최근에 본업이 바쁜 것도 있고, 제가 알고 있는 내용을 거의 다 적었기 때문에 쓸거리가 없습니다. ㅎㅎ 쥐어짠다면 조금은 나오겠지만, 그런 것들은 제가 잘 모르는 부분 중에 꼭 필요한 부분만 익힌 것이라 설명을 하라면 저 조차도 이해하지 못한 내용이라 쓰기가 부끄럽습니다. 또한 제가 본업에 필요해서 작업한 스크립트들을 설명할까도 생각 했지만, 회사의 작업과 관련된것들이라 쉽게 풀어놓을 수 있는 내용도 아니고, 상당히 한정적인 조건(회사의 업무 프로세스 관련된)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트 이기 때문에 여러분께 도움이 될 가능성도 적습니다. 그래서 블로그를 읽으시는 분들중에 공부하시는데 궁금한 부분이나, 필요해서 스크립트를 짜고 있는..

공지 2021.06.10

Edit poly, Editablepoly, Edit Mesh, Editable Mesh 확인하고 분기나누기.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은 'k'님이 질문을 올리신 것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질문 내용은 'Edit poly, Editablepoly'의 구별하지 않고 비슷한 기능을 통합해서 사용하고 싶으신 것 같습니다. (제가 정확히 이해한 건지 모르겠네요. ㅎㅎㅎ) 하지만 저는 모델링에 관해서는 거의 아는것이 없어서 세세한 부분까지는 설명 드릴수 없고 메쉬의 가장 대표적인 4가지에 대해서 스크립트로 어떻게 구별을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질문하신 내용의 스크립트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try(destroydialog Bridge)catch() 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