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모든 프로그램에서 꼭 알아야 하는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내용에서 간단하게 알아봤는데요.
변수는 '변할 수 있는 데이터'라고 얘기했습니다.
변하기 위해서는 변수에 값을 넣을 수 있어야겠지요.
변수에 값을 넣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
a = 1
|
cs |
이전에 'MAXScript Listener'에서 해보았을 것입니다.
수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을 사용하면 '왼쪽 값과 오른쪽 값이 같다.'를 뜻하는데요.
프로그램에서는 약간 의미가 달라져 '왼쪽 변수에 오른쪽 값을 넣는다.'가 됩니다.
즉 'a'가 변수고 '1'이 값이 되어 '='에 의해 'a' 가 1을 가지게 됩니다.
이어서
1
|
a = 2
|
cs |
를 한다면, 'a'는 '2'가 돼버립니다.
이어서
1
|
a = 2 + 3
|
cs |
을 한다면 'a'는 '5'가 됩니다.
'='을 기준으로 오른쪽 항을 먼저 계산을 한 다음에 계산된 값을 마지막으로 왼쪽 항인 변수에 넣게 됩니다.
그렇다면 현재 'a'가 '5'인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1
|
a = a + 5
|
cs |
하면 어떻게 될까요?
조금 당황스럽겠지만 위에 얘기한 것을 생각해 본다면 오른쪽 항을 먼저 계산을 합니다.
'a'는 5라는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5' + '5'가 돼서 '10'이 됩니다.
그리고 다시 'a'에 '='을 사용해서 '10'을 넣어 'a'는 '10'이 됩니다.
이렇게 값이 변하기 때문에 '변수'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변수의 형태로는 기본적으로
integer : 정수
float : 실수
string : 문자
과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형이 있고
arrary : 배열
bool : 불(참 거짓)
point 2 : 두 개의 값이 쌍을 하나의 값으로 묶음(2D 데이터의 좌표)
point 3 : 두 개의 값이 쌍을 하나의 값으로 묶음(3D 데이터의 좌표)
color : RGB 색상
function : 함수
와 같이 3D 툴이나 맥스에서 만 사용하는 형태가 있습니다.
맥스의 변수는 변수를 만들 때(변수를 선언할 때) 형을 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a'라는 변수를 만들고 '정수', '실수', '문자', '배열'등 필요한 것을 변수에 넣음과 동시에 입력되는 값에 따라 변수의 형이 정해 집니다.
기존에 '정수'형인 변수를 다른 형으로 바꾸는 변환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as'라는 명령어인데요.
'정수'에서 '실수' 혹은 그 반대로도 가능하고 '숫자'에서 '문자'로 바꾸는 것도 가능합니다.
1
|
3 as float
|
cs |
라고 하면 '정수'가 '실수'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반대로는
1
|
7.62 as integer
|
cs |
로 하면 정수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값이 7로 나오는것을 보니 반올림은 하지 않네요.
1
|
7.62 as string
|
cs |
라고 한다면 '실수'가 '문자'로 바뀌며 반대로도 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형 변환이 가능한데 기본적으론 방금 배운 것만으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의 이름은 마음대로 지을 수 있지만, 특정한 이름은 사용 할 수 없습니다.
'!, @, #, $, %, ^'와 같은 특수 문자가 가 들어가거나
'1Xpos'와 같이 문자열 앞에 숫자가 들어가거나
'true, false'처럼 미리 정의된 변수
'animate, global, when'과 같이 예약어 등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MAXScript Listener'를 이용하면 사용할 수 있는지 없는 지를 알 수 있습니다.
'맥스스크립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어문(if) (3) | 2019.07.07 |
---|---|
배열 함수 (3) | 2019.07.05 |
배열 (6) | 2019.07.03 |
변수의 범위 (10) | 2019.07.02 |
변수의 연산 (0) | 2019.07.01 |
MAXScript Listener (0) | 2019.06.30 |
변수와 함수의 개념 (0) | 2019.06.29 |
맥스 스크립트의 구조 (6) | 2019.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