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MAX Script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어제 배운 if에 이어 오늘은 case를 배우겠습니다.
case는 if문과 비슷한 조건에 따라 반응하는 함수입니다.
조금 더 정확하게 얘기하자면
if와 else if로 반복되는 긴 문장을 간략하게 표시하는 명령어입니다.
다음 내용을 봅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if(a > 100) then
(
format "Number 1\n"
)
else if(a > 90) then
(
format "Number 2\n"
)
else if(a > 80) then
(
format "Number 3\n"
)
else if(a > 70) then
(
format "Number 4\n"
)
else if(a > 60) then
(
format "Number 5\n"
)
else
(
format "Number 6\n"
)
|
cs |
a의 값에 따라 출력하는 if문인데 이거 너무 기네요.
이것을 case문으로 바꿔 보도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
case of
(
(a > 100): format "Number 1\n"
(a > 90): format "Number 2\n"
(a > 80): format "Number 3\n"
(a > 70): format "Number 4\n"
(a > 60): format "Number 5\n"
default: format "Number 6\n"
)
|
cs |
아까보다 코딩의 길이가 확실히 줄어들었습니다.
8번 라인의 default는 case문에서 위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실행되는 명령어입니다.
크거나 작거나 하는 관계 연산자가 아니라 단순 값을 확인하는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
a = random 1 3
case a of
(
1: format "Hi\n"
2: format "Hello\n"
3: format "Bye\n"
)
|
cs |
여기서 잠깐 random이라는 함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random함수는 난수 발생을 하는 함수인데 간단하게 얘기하면 random 뒤에 오는 첫 번째 수부터 두 번째 수 사이에 값을 임의로 생성합니다.
이것은 실행할 때마다 다른 값을 만들어 냅니다.

if문을 사용하거나 case문을 사용하거나 사실 결과에는 차이가 없기 때문에 자신이 쓰기 편한 것을 사용하면 됩니다.
맥스 스크립트로 만들어지는 것들은 빠르게 실행되는 것보다는 결과 값이 정확하게 실행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case문에 대해서 얘기했습니다.
다음에는 반복문의 대명사 for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맥스스크립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오브젝트 만들기 (1) | 2019.07.12 |
---|---|
맥스스크립트의 알아두면 좋은 것 (0) | 2019.07.12 |
반복문(while) (3) | 2019.07.10 |
반복문(for) (8) | 2019.07.09 |
제어문(if) (3) | 2019.07.07 |
배열 함수 (3) | 2019.07.05 |
배열 (6) | 2019.07.03 |
변수의 범위 (10) | 2019.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