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스스크립트 기본

Constraints - Path(4)

스크립팅하는애님 2019. 11. 28. 15:5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애니메이터가 들려주는 맥스 스크립트의 스크립팅하는 애님입니다.

오늘도 이야기할 내용은 Path Constraint입니다.

 

 

우선 이전 시간과 동일하게

작은 Box001과, Box001이 따라서 이동할 Path인 Line001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Box001의 Position Controller에 Path Constraint을 적용합니다.

그 후에 Box001의 Path Constraint에 Line001을 추가했습니다.

 

 

Path Options - constant Velocity

현재 경로를 따라가는 속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path>.constantVel Boolean default: false -- alias: Constant_Velocity

라인을 따라 버텍스의 위치와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를 갖도록 합니다.

false일 경우 버텍스의 위치에 따라 속도가 변경됩니다.

Boolean형 값을 갖고 기본적으로 false입니다.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
$'Box001'.pos.controller.constantVel
$'Box001'.pos.controller.constantVel = true
cs

 

1번 라인의 내용은 현재 constant Velocity의 값을 구합니다.

2번 라인의 내용은 현재 constant Velocity의 값을 변경합니다.

 

 

Path Options - Loop

현재 Loop의 설정 값을 구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path>.loop Boolean default: false -- boolean

true로 설정하면 노드가 라인의 끝점에 도달한 후 라인의 시작점으로 되돌아갑니다.

Boolean형 값을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false입니다.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
$'Box001'.pos.controller.loop
$'Box001'.pos.controller.loop = false
cs

 

1번 라인의 내용은 현재 Loop의 값을 구합니다.

2번 라인의 내용은 현재 Loop의 값을 변경합니다.

 

 

Path Options - Relative

Path Constraint적용시 오브젝트의 위치 형식을 가져오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path>.relative Boolean default: false -- booleanExample

값이 true이면 노드의 초기 위치에서 이동하고, false이면 라인의 Start Vetex에 위치합니다.

Boolean형 값을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false입니다.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
$'Box001'.pos.controller.relative 
$'Box001'.pos.controller.relative = false
cs

 

1번 라인의 내용은 현재 Relative의 값을 구합니다.

2번 라인의 내용은 현재 Relative의 값을 변경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이야기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Path Constraint를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맥스스크립트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llback(1) : 소개와 추가  (0) 2021.01.29
Wire Parameter(2)  (0) 2019.12.17
Wire Parameter(1)  (0) 2019.12.16
Constraints - Path(5)  (0) 2019.11.29
Constraints - Path(3)  (0) 2019.11.27
Constraints - Path(2)  (0) 2019.11.26
Constraints - Path(1)  (0) 2019.11.25
Constraints - Link(3)  (0) 2019.11.22